::::: 제 47항 :::::
제 47항: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ㄱ을 원칙으로 하고, ㄴ을 허용함)
ㄱ ㄴ
불이 꺼져 간다. 불이 꺼져간다.
내 힘으로 막아 낸다. 내 힘으로 막아낸다.
어머니를 도와 드린다. 어머니를 도와드린다.
그릇을 깨뜨려 버렸다. 그릇을 깨뜨려버렸다.
비가 올 듯하다. 비가 올듯하다.
그 일은 할 만하다. 그 일은 할만하다.
일이 될 법하다. 일이 될법하다.
비가 올 성싶다. 비가 올성싶다
잘 아는 척한다. 잘 아는척한다.
다만,앞말에 조사가 붙거나 합셩 동사인 경우, 그리고 중간에 조사가 들어갈 적에는 그 뒤에 오는 보조 용언은 띄어 쓴다.
잘도 놀아만 나는구나! 책을 읽어도 보고….
네가 덤벼들어 보아라. 강물에 떠내려가 버렸다.
그가 올 듯도 하다 잘난 체를 한다.
------------------------------------------------------------------------------------------------
::::: 맞춤법47에 관한 풀이 :::::
[참고] 보조 용언
용언 중에는 단독으로는 쓰일 수 없고 반드시 다른 용언에 기대어 그 말에 뜻을 더해 주는 용언이 있다. 이를 보조 용언이라 하는데 보조 동사, 보조 형용사로 나눈다.
보기> ㄱ. 아침을 든든하게 먹어 두었다.
ㄴ. 나도 너를 따라 가고 싶다.
ㄷ. 여름 날씨가 그다지 덥지 아니하다.
(보기)에서 밑줄 그은 "두었다, 싶다, 아니하다"는 보조 용언으로, 그 앞에 있는 용언의 뜻을 더해 주고 있다. "먹어, 가고, 덥지"와 같이 보조 용언의 도움을 받는 용언을 본용언이라고 한다.
[제47항] 본용언과 보조 용언의 띄어쓰기
보조 용언도 본용언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단어이므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두 어근의 결합으로 짜여진 합성어 구성과 "본용언+보조용언"의 구성을 구분하기가 힘이 든다.
보기1> 들어가다, 늘어나다, 엎어지다, 살펴보다, 알아보다, 찾아보다
보기2> ㄱ. 꺼져 가다, 겪어 나다, 깨뜨려 버리다, 물어 보다
ㄴ. 꺼져가다, 겪어나다, 깨뜨려버리다, 물어보다
(보기1)의 보기들은 합성어로서 하나의 단어로 굳어 있는 합성어인데, 이들은 반드시 붙여 쓴다. 그런데 (보기2)의 보기들은 "본용언+보조 용언"의 구성으로 원칙적으로는 (ㄱ)과 같이 띄어 쓴다. 문제는 합성어와 "본용언+보조 용언"의 구분이 그렇게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언중들이 일일이 사전을 통하여 확인하지 않는다면 (보기1)과 (보기2ㄱ)의 단어들의 성격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띄어쓰기를 정확하게 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다. 그리고 띄어쓰기는 독서의 능률을 높이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지는 것인데, 본용언과 보조용언을 띄어 쓰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보장이 없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를 감안하여 (보기2ㄱ)도 (보기2ㄴ)과 같이 붙여 쓰는 것을 허용한다.
그리고 의존 명사 "양, 체, 척, 만, 법, 듯" 등에 "-하다"나 "-싶다"가 결합하여 된 보조 용언("뻔-하다, 성-싶다" 포함)도 붙여 씀을 허용한다.
보기> ㄱ. 양하다:그는 당선이 된 양하였다. 그는 당선이 된양하였다.
ㄴ. 체하다:철수는 죽은 체하고 있었다. 철수는 죽은체하고 있었다.
ㄷ. 만하다:이제는 살 만하구나. 이제는 살만하구나.
ㄹ. 듯싶다:일이 잘 될 듯싶다. 일이 잘 될듯싶다.
ㅁ. 뻔하다:그는 죽을 뻔하였다. 그는 죽을뻔하였다.
[다만] 보조 용언 앞에 조사가 와서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두 단어로 분리되는 것이 분명할 적에는 반드시 띄어 쓴다. 이 다만 규정은 보조 용언 사이에 조사가 개입될 경우는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분명하게 분리되므로 붙여 쓰지 않는 것이다.
보기> ㄱ. 불이 꺼져만 간다.(*불이 꺼져만간다) 겪어는 보았다.(*겪어는보았다)
ㄴ. 먹어만 보아라.(*먹어만보아라) 마셔만 보아라.(*마셔만보아라)
ㄷ. 올듯은 하다.(*올듯은하다) 올 성도 싶다.(*올성도싶다)
합성 동사 뒤에 보조 용언이 붙은 경우는 반드시 띄어 쓴다. 이는 합성 동사 뒤에 보조 용언을 붙여 쓰면 한 어절의 길이가 너무 길어지는 결과를 낳으므로, 독서 능률을 고려하여 띄어 쓰도록 한 것이다.
보기> 밀어내 본다(*밀어내본다) 집어넣어 버렸다(*집어넣어버렸다) 잡아매 둔다(*잡아매둔다) 매달아 놓는다(*매달아놓는다)
|